지고의 것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 극단 몬스트러스 레먼트와 말레우스 말레피카룸
1975년 8월 14일의 오후, 기이한 폭풍우가 런던 북부의 작은 지역을 덮쳤다. 3시간 동안 비가 내리퍼부었다. 지하가 침수됨에 따라 수백 명이 집을 잃었고, 구명정과 노가 달린 배들이 가스펠 오크에 발이 묶인 사람들을 구조하고 있었다. 8월 14일의 오후는, 또한 불만 가득하고 신물이 난 여배우들과 음악인 몇몇이 모여 음악 극단을 만들어 볼까 하고 만나려던 날이기도 했다. 만남은 가스펠 오크에서 예정되어 있었다. 수위가 점차 높아졌고, 폭풍우가 본격적으로 덮치기 전에 도착했던 한두 명의 사람들은 뒷문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빗물을 막기 위해 정원의 막힌 하수구를 뚫어야만 했으므로, 우리는 이 만남이 취소될 거라고 생각했다.그런데 그런 일은 없었다. 늦은 오후와 이른 저녁 사이에, 하나둘씩, 그들은 나타났다: 흙탕물에 후줄근하게 젖은 채로. 우리는 환호로 맞이하면서, 이것이 놀랍도록 상서로운 조짐임이 분명하다고 생각했다. 극단이 자립하는 데는 또 다른 8달이 걸렸다. 첫 번째 프로덕션을 시작하기 전까지 원래의 구성원 중 누군가 나가고 또 다른 이들이 들어왔지만, 극단의 신화 속에서 그 폭풍의 오후는 언제 나 몬스트러스 레지먼트의 시작이었다.
1975년 순회 극단 몬스트러스 레지먼트를 공동 창립하여 15년간 운영해 온 배우이자 번역가 질리언 한나(Gillian Hanna)는 1991년 <몬스트러스 레지먼트: 4개의 극과 집단 제전>을 집필한다. 위의 글은 책에 “폭풍의 오후”라는 제목으로 실린 짧은 일기로, 폭풍우를 뚫고 만난 이들이 처음 극단을 만든 날을 상기하고 있다.
당대의 여러 대안 극단 중에서도 강경한 사회주의적 여성주의 노선을 고수하였던 몬스트러스 레지먼트의 극단명은 16세기 스코틀랜드의 신학자였던 존 녹스가 16세기 발간한 소책자의 제목인, ‘괴물 같은 여성 정권에 대한 첫 번째 나팔 소리’로부터 인용한 것이다. 녹스는 가톨릭 국가인 프랑스의 세자와 결혼한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정권을 ‘괴수’에 빗대며 다음과 같이 썼다.
하나님의 교회에서 가장 존경을 받아온 저자들의 지혜에 의해 조명된 규칙과 법령에 따르면, (여인들의 지배는) 자연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뜻과 율법에 역행하는 것임이 분명하게 밝혀지고 있다. (..)여인이 국가와 제국을 손아귀에 넣고 남성을 지배하거나 국가, 영지, 지방, 도시의 통치자가 된다는 것은 하나님을 모독하지 않고는 행해질 수 없는 일이다. (..) 그러므로 모든 남자들은 이제 나팔 소리가 한 번 울렸다는 사실을 명심할지어다.
400년 묵은 녹스의 강령을 배후에 둔 채 시작된 극단 몬스트러스 레지먼트는 1993년 영국 왕립학술회가 지원을 중단할 때까지 18년에 걸쳐 30여 편의 공연을 제작, 상연했다. 몬스트러스 레지먼트는 작가, 배우, 연 출가 등으로 위계화된 기존의 제작 체계 대신 공동 창작의 방식을 도입하였다. 예를 들어 극작가의 초안을 리허설 하는 과정에서 배우가 특정 연출의 변형, 추가 혹은 삭제를 요청하는 일이 가능했다.
처칠은 몬스트러스 레지먼트보다 1년 앞서 창단된 극단 조인트 스톡(Joint Stock)의 일원이기도 하였다. 조인트 스톡 또한 작품의 제작과 상연에서 공동 창작의 방식을 도입했던 극단이었다. 이처럼 70년대 초중반 창설되기 시작한 일련의 대안 극단은, 68혁명 이후 유럽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대처 집권 하에서 구 식민지 영토의 유색 인종을 배제한 채 영국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던 70년대의 보수적 쇼비니즘에 대항했다.
처칠은 1975년 몬스트러스 레지먼트와 <비네가 탐(Vinegar Tom)>을 협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음악극 형식을 실험하기 시작했다. <비네가 탐>의 마지막 21장에서 처칠은 중세 시대 이른바 ‘마녀 칙서’로 통용되었던 ‘말레우스 말레피카룸(Malleus Maleficarum)’의 두 저자 하인리히 크레머와 제이콥 스프렝거가 나누었을법한 가상의 대화를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처칠은 두 신학자가 믿어 의심치 않는‘마녀’ 라는 개념과 그것이 지시하는 바가, 여성이라는 성 일반에 대한 편견을 통해 자신들의 기득권 남성성을 유지하던 뿌리 깊은 여성 혐오의 한 전형임을 보여준다. <지고의 것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는 당시 교황이 두 신학자에게 공식적으로 말레우스 말레피카룸의 내용을 인정한다는 내용을 담은 칙서의 이름이다. / 20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