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청각추론: 잘못 듣는 일에 관하여
1. 잘못 듣는 일
‘어둠 속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둘러싼 믿음은 언제든 틀릴 수 있다’. 이 가정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을 참의 증거로 최종 채택하는 시각중심적 증거론에서 당연하게 가지고 있는 하나의 가설이다. 만약 간밤에 창밖에서 들려온 소리가 평소와 달리 유난히 으스스했다면, 우리는 날이 밝은 뒤 그 소리의 근원을 추적하기 위해 바깥을 살펴볼 것이다. 그 소리에 대해 가졌던 음산한 상상이 사실이 아니었다는 것을 확인하고 싶기 때문이다. 알고 보니 그 소리는 별로 으스스하지 않은 무언가의 마찰음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안도한다.
이 글은 어떤 소리를 다른 소리로 잘못 듣는 그 경험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러한 듣기에서의 오인이 무엇을 행할 수 있을지 생각해본다. 이를 위해 어떤 음향적 사태를 설명하는 여러 가설 중 하나의 가설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최선 청각 추론’이라 이름 붙였다. 최선 청각 추론은 대개 이러이러한 상황이라면 저러저러할 것이라는, 사태의 그럴듯함에 대한 믿음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이 믿음을 지탱하는 것은 주관적인 합리성으로, 이 합리성은 때로 청취자가 이미 가지고 있던 믿음의 강도에 따라 한 소리를 다른 소리로 듣도록 한다. 다른 소리에 대한 믿음은 선택하는 것이기보다 강제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에 잘못 듣는 일이 지니는 가능성의 핵심이 있다. 그것은 상상하고 싶지 않은 것을 상상함으로써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게 만드는 것과 관련이 있다. 또한 듣기의 문제에 대한 이같은 접근은 증언적 믿음의 동인을 다름 아닌 실용적인 계기에서 찾도록 하는데, 이는 증언의 청취를 일종의 윤리적인 책무로 여기는 일반적인 접근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에 도움을 준다.
이제, 앞선 가정을 다음과 같이 고쳐 써보자: ‘소리를 통한 앎은 어둠 속에서 무언가를 보는 일만큼이나 믿을만하지 않다’. 야간에 일어난 뺑소니 사건을 목격한 사람의 증언을 참작할 때 가스등의 노란 불빛 아래서 파란색 택시가 녹색으로 보였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듯, 소리를 통한 앎에도 언제나 다르게 들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요컨대, 듣기를 통한 앎은 어둠 속에서 보는 일처럼, 때로는 그보다 더욱 심하게 사태를 오인하게 할 가능성을 지닌다. 왜냐하면 보이는 것과 달리, 들리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봄을 통한 앎이라고 해서 언제나 믿을 만한 것은 아니다. 지각은 종종 사태의 그럴듯함을 너무도 강력하게 믿는 나머지, 보이는 것을 부정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인지과학의 실험이나 행동경제학의 사례들은 인간 지각이 얼마나 비합리적인지 폭로하며, 나아가 그러한 비합리성이 특정한 조건 아래서만 발현된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이를테면 빛을 받는 면의 색상이 그림자가 드리워진 부분보다 언제나 더 밝을 것이라는 믿음 아래, 사실상 동일한 채도를 다르게 받아들이는 것과 같은 지각의 오인은 합리적으로 작동하는 지각 과정만큼이나 체계화되어있다.
2. 체계적 비합리성
체계적 비합리성을 조금 더 전체론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다시 말해 ‘인간적으로’ 재맥락화할 수도 있다. 정보가 부재하는 곳에 경험적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채워 넣는 지각의 작용을 상상력의 힘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흑과 백으로 이루어진 추상적이고 무작위한 패턴 이미지 속에서 특정한 형상을 인지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그 형상을 보지 않는 것이란 불가능하다. 설령 그 형상이 제거된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그녀가 떠났다는 것을 깨닫지만, 그런데도 불구하고 그녀의 존재에 대한 기대는 그녀의 자리에 남아 있다. [...] 자동적 기대, 그것이 실현되지 않으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억제할 수 없는 기대"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 지점에서 이 글의 첫 번째 관심사가 등장한다: 잘못 보거나, 없는 것을 보는 일은 주어진 사태가 어떠어떠할 것이라는 믿음과 기대에 영향을 받는다. 그렇다면 듣는 일에 있어 이러한 '자동적 기대'가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 언뜻 생각하면 무언가를 보고 싶어 하는 마음이 그것을 보게 하는 것처럼, 무언가를 듣고 싶다는 마음이 그 소리를 듣게 할 것만 같다. 다른 감각적 경험이 그렇듯, 소리를 잘못 듣는 일 또한 소리가 들려오는 상황에서 내가 가지는 기대감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 또한 사실이지만, 동일한 방식으로 그렇지는 않다.
그렇다면 잘못 보는 일과 잘못 듣는 일은 어떻게 다를까? 어떤 사태를 두고 제기된 서로 다른 가설들이 주어진 증거들을 동등하게 만족하고 있다면, 가설들의 우위를 결정할 수 없다. 이를 가설 선택(이론 결정)의 문제라 부르기도 한다. 잘못 보는 일, 예컨대 착시 현상이 특정한 방식으로 보도록 정향된 광학적 데이터의 배열로 인해 일어날 때, 눈은 지금 보고 있는 것이 생각하는 그대로가 아니라는 사실을 ‘듣기’ 전까지 의심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가 관점을 전환하는 순간 언제든 눈앞의 오리는 토끼가 될 수 있으며, 그 반대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잘못 듣는 일은 꼭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그것은 오히려 지금 듣고 있는 것이 내가 생각하는 그러한 소리가 아님을 알면서도 어떤 이유에서인지 별로 그럴듯하지 않은 가설을 폐기하지 못하는 상황과 더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때 소리에 대한 믿음은 이쪽에서 저쪽으로, 그리고 저쪽에서 이쪽으로 전환되기보다는, 하향 배음(subharmonics)을 구성하면서 동시에 발생한다.